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원가는 발생 형태나 제품과의 관련성
또는 조업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조업도에 따라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조업도는 무엇이냐?
생산량 작업시간 판매량 등
기업의 경영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를 말한다
즉,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로
조업도 수준에 따라 총원가 발생액이
일정한 형태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업도 ▲ → 총원가 일정 → 단위당원가 ▼
고정비
제품의 제조 수량 증감에 관계없이
그 총액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
ex) 감가상각비, 세금과 공과, 임차료
총고정비는 항상 일정한 반면
생산량이 증가하면 제품의 단위당 고정비는 감소
조업도 ▲ → 총원가 ▲ → 단위당원가 일정
변동비
제품의 제조 수량 증감에 따라
그 총액이 변동하는 원가
ex) 직접 재료비, 직접노무비 등
생산량이 증가하면
제품 단위당 변동비 원가는 일정한 반면
총변동비는 증가
'전산회계 1급 > 공부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산회계 1급 부가가치세 : 주사업장 총괄납부 vs 사업자단위 과세제도 (0) | 2022.04.07 |
---|---|
나만 보는 전산회계 : 계정과목 (0) | 2022.04.07 |
전산회계1급 : 매입세액 불공제 대상 거래 (불공제 사유) (0) | 2022.04.03 |
나만 보는 전산회계 : 임가공비 와 외주가공비 (0) | 2022.04.02 |
나만 보는 전산회계 : 외상매출금 과 미수금 (0) | 2022.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