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노무7 연말정산 과세표준 그리고 월세 소득공제 vs 월세 세액공제 🖐️ 🖐️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다. 몇번을 해도 뭐가 뭔지 아직도 모르는 나 내가 뭘해서 연말정산 받는지 좀 알아야하는거 아닌가? 알고 있어야할 연말정산의 개념들을 먼저 알아보자. '과세표준' 이라는 것은 세금을 부과하는데 그 기준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즉 나라에서 세금을 매길 때 기준이 되는 금액 (연봉과는 다름)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 정산을 할 때 1년간 얻은 총소득에서 필요비용를 제외하고 (생활비, 비과세 소득 등) 또 각 상황에 맞는 소득공제를 받고 난 후의 금액이 과세표준이 된다는 말이다.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다 > 세율이 낮아진다 > 납부 세금이 적어진다. 사실 이번에 받고 싶은 공제가 있다. 한번도 받아 본적없었던 '월세' 관련이다. 그런데 월세관련해서 소득공제, 세액공제가 있단다. 각각.. 2024. 1. 11. 법정근로시간, 주52시간제,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근로기준법상 주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해져 있는 최저 근로조건의 기준 근로시간 휴게시간 제외 하루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휴게시간 제외 한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주 52시간제 법정근로시간인 한주 40시간에 연장근로 시간12시간을 합친 시간으로 최대 주 52시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 연장근로(시간외 근로) : 1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간에 12시간을 한도로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소정근로시간 '소정' : '정해진 바' 라는 뜻으로 근로기준법상 법정근로시간 내에서 사용자과 근로자가 합의한 '근로시간'을 말한다. 페이롤 payroll 급여처리를 해야하는 인사/노무업무 담당자라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하는 근로기준법 관련 .. 2022. 8. 15.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 : 근로시간) 근무 중 휴게시간은 임금에 포함될까? NO!! 계약상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과 별도로 식사 시간 등 근로자가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 임금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 (근로시간)] ①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근로시간을 산정하는 경우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가끔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는 분들이 휴게시간도 근무시간에 포함되는거 아니냐!!? 휴게시간이 너무 긴거 아니냐!!? 이런 분들이 있어요. 그리고 '식비'관련 물어 보는 분들도 있는데 아르바이트 면접을 진행.. 2022. 8. 14.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과 원천징수부의 차이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원천징수부'라는 용어를 한번쯤은 들어봤을 거예요. 관련 업무팀이 아니더라도 관련부서에 요청을 하거나 새로 이직을 할 때 요청을 하거나 언젠가 꼭 쓸 일이 있죠. 그러니 이 둘의 차이를 간단히 알아볼게요. 사실 이 둘을 먼저 알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것이 있어요. 그것은 바로 연말정산입니다.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이란 간단히 말하면 회사에서 급여를 받을 때마다 공제되는 세금 부분 있잖아요. 이 부분을 회사에서 일정 비율로 원천징수해서 먼저 세금을 내는 거죠. 그런데 이 비율이 임의대로 한 것이니, 연말정산은 국세청에서 1년 동안의 근로소득세를 확인하고 회사에서 원천징수한 금액과 비교해 과부족을 따져 1년 근로소득 세금을 확정 짓는 것입니다. 근로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직장 다니면 .. 2022. 5.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