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산회계 1급/공부하자

전산회계 1급 부가가치세 : 매입세액 공제하는 이유(매출세액, 매입세액)

by 총총 2022. 3. 28.

출처 : Pixbay

부가가치세란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함

 

 

응  무슨 말이냐고 !?

 

물건을 거래하거나 

서비스(용역)의 거래 과정에서 

얻어지는 마진(이윤)에 대한 세금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이지만

사업자가 세무서에 납부함

 

예를 들면, 

① 노트북 공장에서 노트북 매입

30만 원 + 3만 원(부가세)

매입세액 : 매입할 때 지불한 부가세

 

② 대리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함

80만 원 + 8만 원(부가세)

매출세액 : 판매할 때 받은 부가세

 

부가가치세 = 매출세액 - 매입세액

 

판매할때 부가세 8만 원에서 

매입할 때 이미 냈던 부가세 3만 원을 빼줌 

 

 이 부분에서 이해가 안 갔던 점!!

 

부가세 계산할 때, 매입세액을 빼는 이유

물건을 구입할 때, 10% 부가세를 같이 내는 거라더니

왜 납부할 부가가치세 계산할 때 매입세액을 다시 빼는 것이냐 말이야 ??

 

부가가치세 실제 부담하는 것은 최종 소비자이지만

그 부가가치세를 징수해 납부는 과세대상 사업자가 함

 

So, 매입세액을 공제받는 이유는

( 계산 시 빼야 하는 이유 )

사업자는 물건의 최종 소비자가 아니므로 공제받아야 한다.

 

매출세액 : 물건을 팔때 받은 세금

(최종소비자가 물건을 구매하며 같이 낸 세금)

 

매입세액 : 물건을 살때 납부한 세금

(사업자는 최종소비자가 아니므로 환급 받아야 하는 세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