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1

제주 시청 점심 추천 '스스럼' 제주도에 여행 갔다가, 제주만의 특별한 음식이라기보다는 무난하게 제주시청 주변 직장인들이 점심으로 먹을 법한 식당을 방문해보았다. 매주 목요일 정기휴무 매일 11:30 - 23:00 브레이크타임 15:00 - 17:30 '스스럼' 메뉴 가게 내부 내부가 깔끔하고 좋았고, 바 형식의 자리도 있어서 저녁에는 술집으로도 운영되는 것도 같다. 이런 깨알 이벤트는 또 해주어야 한다. 무료 음료를 받기 위한 꿀팁이다. 주문한 메뉴 : 연어장 덮밥, 카츠동 연어도 좋아하고 연어장도 좋아하는 나로서는 계란 노른자까지 올려져 있어서 정말 만족스러웠던 메뉴였다. 연어가 올라가서 가격대가 있긴 했지만 그만큼 맛은 보장이 됩니다. 무엇보다 깔끔하게 한 상 차려져 나오는 게 정갈하게 대접받는 기분이라 좋은 느낌. 카츠동이야 덮.. 2022. 5. 15.
급여 4대보험적용 (입사시 4대보험 공제) 건강보험 입사자 또는 휴직자는 복귀시 해당월 1일자가 포함된 경우 급여에서 공제한다 ex) 급여산정기준날이 1일 ~ 31일 경우 3/1 입사자 - 3월 급여에서 건강보험료 공제 3/2 입사자 - 4월 급여에서 부터 건강보험료 공제 국민연금 입사자 해당월 1일자가 포함된 경우 급여에서 공제한다 ex) 급여산정기준일수가 전월 25일 당월 25일 경우 2/28 입사자 - 3월 받는 급여에서 국민연금 공제 3/02 입사자 - 4월 받는 에서 부터 국민연금 공제 *만 60세 이상자 국민연금 가입안되므로 급여에서 공제 안함 고용보험 입사자 중 만 65세 이후 급여 공제 X 입사 후 중도에 만 65세가 된경우는 이전처럼 급여에서 계속 공제 산재보험 전액 회사부담 2022. 4. 26.
퇴직금 구하기(퇴사 직전 3개월 근무일수, 평균임금, 재직일수) 퇴직금은 직전 3개월 임금 총액을 기준으로 구하게 되죠. 퇴직금을 구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몇 가지 들을 알아볼게요. 근무일수(재직일수, 기산일수) = 퇴사일 - 입사일 + 1 퇴직금 구하는 산식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무일수 ÷ 365) 평균임금 구하는 산식 = 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 ÷ 3개월 간 근무일수 퇴사 직전3개월 간 근무일수 일단 마지막 근무일부터 직전 3개월로 거슬러 올라가면 됨 * 직전 3개월 간 근무일수는 89일 or 90일 or 91일 or 92일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실 평균임금이 높아야 퇴직금이 높아지기 때문에 퇴직 직전 3개월 간 근무일수가 적은 것이 좋다. 그리고 그 달은 2월 근무일수가 포함되는 4월 퇴사가 가장 좋다는 뜻 2022. 4. 26.
전산회계1급 원가회계 : 원가행태(조업도)에 따른 분류 (고정비와 변동비)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 원가는 발생 형태나 제품과의 관련성 또는 조업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조업도에 따라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조업도는 무엇이냐? 생산량 작업시간 판매량 등 기업의 경영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를 말한다 즉, 원가행태에 따른 분류로 조업도 수준에 따라 총원가 발생액이 일정한 형태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업도 ▲ → 총원가 일정 → 단위당원가 ▼ 고정비 제품의 제조 수량 증감에 관계없이 그 총액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 ex) 감가상각비, 세금과 공과, 임차료 총고정비는 항상 일정한 반면 생산량이 증가하면 제품의 단위당 고정비는 감소 조업도 ▲ → 총원가 ▲ → 단위당원가 일정 변동비 제품의 제조 수량 증감에 따라 그 총액이 변동하는 원가 ex) .. 2022.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