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다.
몇번을 해도 뭐가 뭔지 아직도 모르는 나
내가 뭘해서 연말정산 받는지 좀 알아야하는거 아닌가?
알고 있어야할 연말정산의 개념들을 먼저 알아보자.
'과세표준' 이라는 것은 세금을 부과하는데
그 기준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즉 나라에서 세금을 매길 때 기준이 되는 금액
(연봉과는 다름)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 정산을 할 때
1년간 얻은 총소득에서 필요비용를 제외하고
(생활비, 비과세 소득 등)
또 각 상황에 맞는 소득공제를 받고 난 후의
금액이 과세표준이 된다는 말이다.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다 > 세율이 낮아진다
> 납부 세금이 적어진다.
사실 이번에 받고 싶은 공제가 있다.
한번도 받아 본적없었던 '월세' 관련이다.
그런데 월세관련해서 소득공제, 세액공제가 있단다.
각각 정확히 어떤뜻인지 알아 보겠다.
'공제' 라는 것은 일정한 금액이나 수량을 빼는 것을 의미함
'세액공제' 부과되는 총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 하는 것
> 세금 자체를 줄여 주는 방식, 월세에 대한 세금을 줄여주는 것
'소득공제' 과세대상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 하는 것
> 월세 지출 비용을 총소득에서 줄여 과세 표준을 줄이는 것
월세를 내고 있는 근로자라면 둘중에 하나는 꼭 해야한다.
다음번에는 나의 상황에 맞는 공제방법을 정확히 알아 보도록 하겠다.
'인사 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정근로시간, 주52시간제, 소정근로시간 (0) | 2022.08.15 |
---|---|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 : 근로시간) (0) | 2022.08.14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과 원천징수부의 차이 (0) | 2022.05.30 |
일용직근로자(단시간근로자) 급여관리한다면 알아야 하는 것(주휴수당, 알바 4대보험) (0) | 2022.05.29 |
급여 4대보험적용 (입사시 4대보험 공제) (0) | 2022.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