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1

법정근로시간, 주52시간제,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근로기준법상 주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해져 있는 최저 근로조건의 기준 근로시간 휴게시간 제외 하루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휴게시간 제외 한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주 52시간제 법정근로시간인 한주 40시간에 연장근로 시간12시간을 합친 시간으로 최대 주 52시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 연장근로(시간외 근로) : 1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간에 12시간을 한도로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소정근로시간 '소정' : '정해진 바' 라는 뜻으로 근로기준법상 법정근로시간 내에서 사용자과 근로자가 합의한 '근로시간'을 말한다. 페이롤 payroll 급여처리를 해야하는 인사/노무업무 담당자라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하는 근로기준법 관련 .. 2022. 8. 15.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 : 근로시간) 근무 중 휴게시간은 임금에 포함될까? NO!! 계약상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과 별도로 식사 시간 등 근로자가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근로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며 임금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 (근로시간)] ①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근로시간을 산정하는 경우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가끔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는 분들이 휴게시간도 근무시간에 포함되는거 아니냐!!? 휴게시간이 너무 긴거 아니냐!!? 이런 분들이 있어요. 그리고 '식비'관련 물어 보는 분들도 있는데 아르바이트 면접을 진행.. 2022. 8. 14.
판매직 매장 직원 ? 판매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있다. 종사?라는 표현까지는 과하다. 판매직에서 잠시 근무하며 시간을 들여 돈을 벌어가는 사람들이 더 많다. 물론 판매직도 어떤 브랜드의 어떤 상품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인지도는 높지만 가격대는 중저가대의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들에서는 주로 젊은 층 근무자들의 입퇴사가 잦아 보인다. 그렇다면 왜 입퇴사가 잦을까? 물론 퇴사자 잦으니까 입사를 그만큼 또 하는 거겠지 그럼 왜 퇴사하는 건데? 장기적으로 근무를 하고 싶은 생각이 없기 때문이겠지 왜 장기근무를 원하지 않는 걸까? 인지도는 있지만 중저가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고 근무자들은 대부분이 20대 초반부터 중반이라면, 그들은 입사부터 아니 애초에 입사지원 당시부터 '직업'이라기보다는 '아르바이트'의 개념으로 회사를 대하.. 2022. 7. 21.
뭐가 문제야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 그냥 재미도 없고 내가 못나 보이고 그렇다 지금 내가 나를 어떤 안경을 쓰고 바라보고 있는 걸까? 우선은 회사에서의 '나'를 많이 생각하게 된다. - 일처리는 느리고 효율성 떨어지는 무능력한 모습 - 겉으로는 사교성 최고지만 관계 맺기엔 너무 못난 나의 모습 그렇다면 회사 밖에서의 '나'는 어떨까? - - 없다.!!!!!! 회사 밖에서의 내가 없다. 나는 회사 밖으로 끄집어내야겠다. 2022. 6. 25.